ot0 2022. 11. 30. 23:45

환율
: 서로 다른 화폐 간 교환비율(상대가치)
: 외환의 가격

환율 시세를 나타내는 방식(호가방식)
①직접환율방식(지급환율)
: 외국통화 1단위와 교환되는 자국통화의 가격, 외국통화 기준(1달러=n원)

-유럽식 표기법
미국 달러화(기축통화) 1단위와 교환되는 외화의 가격
외국환은행의 대고객 외환거래 또는 국제외환시장에서의 외환거래
eg. 1달러=n파운드, 1달러=n유로

②간접환율방식(수취환율)
: 자국통화 1단위와 교환되는 외국통화의 가격, 자국통화 기준(1원=n달러)

-미국식 표기법
외화 1단위와 교환되는 미국 달러화(기축통화)의 가격
선물시장, 옵션시장에서의 통화거래
eg. 1파운드=n달러, 1유로=n달러

*교차환율 -> 재정환율을 위한 유럽식 표기법 일반화(1978)
1달러=1000원, 1달러=100엔 -> 100엔=1000원
재정환율: 우리나라의 대미달러환율을 기준으로 간접적으로 계산된 원화의 엔화에 대한 환율
교차환율: 재정환율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된 달러화와 엔화의 환율

환율의 종류
①매입환율: 은행이 외환을 매입할 때 적용하는 환율

②매도환율: 은행이 외환을 매도할 때 적용하는 환율

*스프레드: 외환마진, 외환중개인의 수수료
일반적으로 매도환율이 매입환율보다 크고 매도환율-매입환율=외환마진이라 함
외환시장 불안정 → 스프레드 확대

③은행간환율: 외국환은행들 간의 거래에 적용하는 환율

④대고객환율: 현찰매매율, 전신환매매율, 여행자수표매매율 등
*매매기준율: 외환시장에서 공시하는 외환거래가격

-매매기준율+은행 수수료=현금 구매 환율

-매매기준율-은행 수수료=현금 판매 환율

현물환율: 외환거래 합의가이루어진 후 2영업일 이내에 외환을 결제할 때 적용하는 환율 -> 현물환거래
*현물환거래: 변동성과 유동성이 크고 낮은 신용위험, 높은 수익성을 보이는 거래

⑥선물환율: 외환거래 합의가 이루어진 환율로 일정기간이 경과한 미래에 결제할 때 적용하는 환율 -> 선물환거래
*선물환거래: 외환거래 계약 후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 대금을 결제하는 방법
*내외금리차, 현물환율의 수준, 선물환의 수급상황, 거래비용, 정치적/경제적 상황 등으로 선물환율 결정

외환시장
-은행간시장: 은행-은행
-대고객시장: 은행-고객

환율변동의 원인
-물가수준
-국제수지
-내외금리차
-외환거래자의 환율 예상
-중앙은행의 외환시장개입
-이 외의 비경제적 요인

외환의 수요: 외국으로부터 재화 및 서비스를 수입하거나 외국의 금융자산을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 발생
외환의 공급: 재화 및 서비스를 수출하거나 국내의 금융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외국 돈이 국내로 들어오는 경우 발생

→ 재화의 수출입, 서비스 거래, 본원소득의 수입/지급, 이전거래, 자본의 이동 등은 환율 움직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짐

*경상수지 흑자(재화 및 서비스의 수출>수입), 자본계정의 유입>유출 → 외환시장 초과 공급 → 환율 하락
*경상수지 적자(재화 및 서비스의 수출<수입), 자본계정의 유입<유출 → 외환시장 초과 수요 → 환율 상승

환율이 상승하는 경우(자국통화가치 하락)
-국내의 통화량 증가율이 다른 나라보다 높을 경우
-국내의 경제성장률이 다른 나라보다 낮을 경우
-국내(실질)이자율이 하락(→국내금융자산의 기대수익률 하락)하는 경우
※국내명목이자율이 외국에 비해 높더라도 인플레이션률이 더 높아 실질 기대수익률이 낮다면 환율 상승

국내 이자율 물가 통화공급 정부지출 기대환율  
하락 하락 증가 감소 상승 환율 상승
상승 상승 감소 증가 하락 환율 하락

 

환율 상승 효과
-수출상품가격 하락 → 수출 증가, 수입상품가격 상승 → 수입 감소 ⇒ 경상수지 개선
*우리나라의 경우 원자재 및 부품의 해외의존도가 높아 수입감소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짐
-수입원자재가격 상승 → 국내 물가 상승
-외채 보유 기업의 원리금 상환부담 가중

-소득 증가


환율 하락 효과
-수출상품가격 상승 → 수출 감소, 수입상품가격 하락 → 수입 증가 ⇒ 경상수지 악화
*수출 감소 시 경제성장 둔화, 실업자 증가
-수입원자재가격 하락 → 국내 물가 하락
-외채 보유 기업의 원리금 상환부담 감소

환율 제도의 종류
고정환율제도: 자국통화와 주요 통화간 환율을 고정, 평가절하/평가절상

-달러통용제도: 달러화와 같은 외국통화를 유일한 법정통화로 사용

-통화동맹제도: 회원국들의 단일통화(공동통화)를 사용

-통화위원회제도: 특정 외화에 대한 자국통화가치 고정→자국통화량을 완전히 외화보유와 연계

-전통적 고정환율제도: 자국통화가치를 주요 통화 또는 통화바스켓에 고정,  중심환율 중심으로 ±1%  환율 변동 허용

-밴드포함 고정환율제도: 환율변동폭 중심환율 중심으로 ±1% 이상 초과 허용

-크롤링페그: 정기적으로 주요경제지표의 변동에 따라 환율 조정, 중심환율을 점점 상승시키며 일정범위(±1%) 내에서 변동 허용

-밴드포함 크롤링페그: 중심환율이 정기적으로 조정되는 동시에 중심환율의 ±1% 이상 초과 변동되는 것을 허용


변동환율제도: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환율 결정, 절하/절상
-관리변동환율제도: 통화당국이 경제상황을 고려하여 자의적으로 외환 시장에 개입

-자유변동환율제도: 외환시장에서의 외환의 수요와 공급으로 환율 결정,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통화당국의 개입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