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나름의 공부..

(4월 10일) 화폐경제학: 화폐유통속도 하락의 원인 분석 과제

ot0 2021. 4. 10. 15:08

피셔의 교환방정식에 따라 (식 변형→V=PY/M)

화폐의 유통속도(V)를 구하기 위해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에서 M2(통화량), PY(명목GDP) 자료를 다운받음

 

화폐의 유통속도가 하락했다는건 통화 한 단위의 활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는 소리.

보통 화폐의 유통속도가 하락하는 요인에는 ①경제성장률의 하락, ②물가 하락, ③통화량 상승 이 있음.

 

모두 피셔의 교환방정식으로 도출 가능

 

①경제성장률의 하락

경제성장률(△Y)가 떨어지면 유통속도(PY/M)는 하락압력을 받음

 

②물가 하락

물가(P)가 떨어지면 유통속도(PY/M)는 하락압력을 받음

 

③통화량 상승

통화량(M)이 증가하면 유통속도(PY/M)는 하락압력을 받음

 

2000년대~(분석 기간) 인터넷뱅킹과 전자화폐 등의 전자금융이 발달하면 시장의 화폐가 줄어들어 (통화량 하락) 화폐의 유통속도가 줄어들 것이라 기대됐지만 실제로 오히려 하락함. 

 

why?

낮은 물가상승률저금리가 주된 원인. 

 

낮은 물가상승률은 ②에서 한 얘기랑 똑같고

저금리에 따라 통화보유의 기회비용이 줄어들면서 저축성 금융상품 수요<화폐 보유 경향 → 화폐수요의 증가

 

이제 이걸 멋지게 보고서로 쓰기만 하면 됨........하 내가해냄.....

 

더보기

     전자화폐 등이 발달하면서 실물화폐 수요가 감소하여 시장의 통화량이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화폐의 유통속도가 줄어들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자금융이 발달하였음에도 화폐의 유통속도가 감소하였다. 이런 현상의 주된 원인은 낮은 물가상승률과 저금리다.

 

     최근 한국은 경기침체로 인해 물가상승률이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저성장, 저물가, 저금리 상황이 이어져오고 있다. , 최근 화폐의 유통속도 하락의 원인은 뉴노멀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피셔의 교환방정식에 따르면 화폐의 유통속도(V)는 명목국민소득(PY)/통화량(M)이다. 교환방정식을 이용하면 낮은 물가상승률(P)이 화폐의 유통속도 하락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도출된다. 저금리는 통화보유에 따른 기회비용을 줄여준다. 따라서 저금리 사회에서 민간은 소비와 투자를 줄이고 화폐를 보유하려는 경향을 보여 화폐의 유통속도를 감소시킨다.

 

     화폐유통속도가 하락하면 통화정책의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화폐의 유통속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피셔의 교환방정식에 따르면 통화량이 증가해도 화폐유통속도가 줄어들면 물가 상승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현재와 같이 기준금리를 인하하여 통화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적절하지 않다. 대신에 민간의 투자를 촉진하고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